-
부동산 폭락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경제 칼럼/투자에세이 2020. 7. 20. 10:16
안녕하세요 오늘의 투자 칼럼 입니다.
코스피 지수 2000선을 두고 지지부진한 등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그냥 팔아버리고 싶은 마음과 그래도 들고가야 한다는 마음이 왔다갔다 합니다.
코스피 지수 예측은 7월에 상승 랠리가 있을 것이고 연말이나 내년초에 피크를 칠 것이다라고 계속 얘기를 해왔습니다. 현재로서도 그럴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변동 사항은 없습니다.
원래 7월 상승 랠리의 배경이 되었던 미국 코로나 상황 안정화라는 호재는 실제와는 달리 백신 개발이라는 호재로 대체되어 주가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미국이 생각보다 더 무식하네요. 아무튼 예측은 맞아가고 있습니다.
트렌드 투자란 한국 경제의 상승과 하락을 예측하여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투자 상품은 코스피 지수 연동 ETF, 금ETF, 선물ETF 투자를 합니다.
개인이 기관, 외인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개별 회사의 주식으로는 승산이 없습니다. 공정한 경기가 아니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국 경제는 개인이 충분히 이길수 있는 종목입니다.
부동산이 좀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이 안정세 또는 하향추세에 들어가면 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지만 길게본다면 좋을 것은 없습니다. 부동산 폭락으로 인해 전반적인 소비심리가 축소되고 이는 경제 침체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지금 소비가 유지되는 이유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의 시장 거래가격이 올랐다고 생각해서 마치 자신이 사용 가능한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의 가상 자산 심리 때문입니다.
부동산이 오른다고 해도 자신의 집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집의 가격이 다 오르기 때문에 결국은 세금만 높아질 뿐 자신의 가계에는 오히려 도움이 안되는 현상이고 사실 기분만 좋을 뿐이죠.
부동산 가격의 상승은 투기꾼을 제외한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세상에는 투자만하면 쉽게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은 정보도 많고, 지금이 타이밍이라고 유혹하는 글도 너무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사실이 아니죠.
경제의 흐름을 읽고 투자를 하면 누구나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부동산 세제 조치로 인해 가격하락이 올해 연말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시작은 개인이 아니라 법인 보유 물량이 시장에 나오면서부터 입니다. 법인은 개인과는 달리 규정과 시스템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돈이 안되는 물량은 그 즉시 시장에 나오게 되는 것이죠. (세금 부과 시점의 차이도 있습니다. 개인은 6월1일이지만 법인은 연말기준입니다.)
아직까지 코스피를 움직이는 원동력은 유동성이라고 보입니다. 특히 개인의 유동성이 아직 버티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여력은 있어 보입니다.
이후에 외인이 돌아오는 시점이 있을텐데 동남아 국가들을 비롯해 이른바 2위 국가들이 코로나에서 회복되고 경제 활동이 정상화 되는 시점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베트남, 인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의 회복 상황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외인이 돌아오면 보통 수 주 동안 상승 랠리가 이어질 것입니다. 그러면 추종 매수 세력도 달라붙게 되고, 여러번 얘기한 대로 그 때가 버블이 만들어지는 지점입니다. 버블은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외인이 돌아와야 버블이 시작됩니다. 외인은 버블을 먹고 삽니다. 버블을 터뜨리는 것도 외인이 될것입니다. 따라서 외인보다 한 발 앞서 빠져나가야 합니다. 그 타이밍은 내가 정확히 짚어줄 것입니다.
원유ETF 최저점을 정확히 찍어준 것처럼, 기다리고 있으면 코스피 최고점도 때가 되면 얘기해줄 것입니다.
참고 : KODEX WTI원유선물(H) 매수 타이밍 알려드림. 261220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지난 칼럼 중 베스트5를 뽑았습니다. 도움되시길...
1위 : [칼럼]뉴욕증시 사상 최고치에도 코스피 힘 못쓰는 이유
3위 :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225130
항상 겸손한 마음으로 칼럼을 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칼럼 > 투자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칼럼] 부동산 위기는 주식시장의 기회가 된다. (0) 2020.08.03 [투자칼럼] 코스피 투자 매도 타이밍, 환율 영향, 가상화폐 투자 비중 등 (0) 2020.07.29 부동산 폭락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0) 2020.07.20 2020년 7월 코스피 유동성 장세가 시작된다. (0) 2020.07.03 [투자칼럼] 코스피 상승을 가로막는 요인 3가지 (0) 2020.06.24 [투자칼럼] 3년짜리 중기 투자 계획, 원유ETF 매도 관련 등 (0) 2020.06.22